아이와 함께 떠나는 첫 해외여행,
비행기 표는 어떻게 끊어야 하지?
유아는 좌석을 안 써도 요금이 나올까?
이런 고민, 많으셨죠?
특히 24개월 미만 유아와 국제선을 이용하려는 보호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
유아 운임 규정은 일반 항공권과는 조금 다르거든요.
자, 그럼 지금부터 국제선 유아 운임의 모든 것, 하나하나 정리해볼게요.
👶 국제선 유아란 누구일까?
항공사 기준에서 유아(infant)란?
탑승일 기준 생후 7일 ~ 만 24개월 미만의 아이를 말합니다.
이 나이 구간에 해당하면 ‘유아’로 예매할 수 있어요.
그런데 중요한 포인트!
비행기에 타는 유아도, 예약은 필수입니다.
비록 좌석을 차지하지 않더라도,
탑승 명단과 안전 기준상 반드시 예약되어 있어야 하죠.
💸 유아 운임, 얼마나 나올까?
많은 부모님들이 궁금해하시는 핵심!
바로 유아 요금은 얼마나 내야 하는지인데요.
정답은!
국제선 유아 운임은 성인 정상 운임의 10%만 부과됩니다.
굉장히 저렴하죠?
하지만 이건 유아가 좌석을 따로 차지하지 않고, 보호자의 무릎에 앉는 경우에만 해당돼요.
🪑 좌석이 필요한 경우는?
간혹 유아가 둘 이상일 경우, 혹은 장거리 노선이라
“좌석을 하나 따로 주고 싶어요”라는 보호자도 계시죠.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소아(Child)' 운임으로 예약하기!
즉, 좌석을 따로 배정받고 싶다면 유아가 아닌 소아 요금으로 구매해야 합니다.
또한,
보호자 1인당 동반 가능한 유아는 1명으로 제한됩니다.
2명 이상의 유아를 데리고 탑승하려면, 좌석이 필요 없는 유아 외에 한 명은 소아로 예매해야 하죠.
🛫 실제 사례로 이해해볼까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도쿄로 가는 국제선을 예매한다고 할 때,
성인 운임이 100만원이라면,
- 좌석을 차지하지 않는 유아는 약 10만원 (10%)
- 좌석을 차지하는 유아는 약 75~90만원 수준 (소아 운임은 항공사별 다소 차이)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 중요한 팁! 꼭 기억하세요
- 유아도 반드시 예약 필수! 공항에서 따로 추가할 수 없습니다.
- 만 2세 생일 직전에 탑승해야 유아 요금 적용 가능
- 항공사마다 유아용 요람(베시넷), 전용 안전벨트, 우선탑승 혜택 등도 있으니 사전 문의 필수
- 유아 2명 이상 동반 시, 추가 보호자 또는 소아 요금 필요
✍️ 총정리 Summary
📌 한글 요약
- 유아 기준은 생후 7일 ~ 만 24개월 미만
- 좌석 점유하지 않으면 성인 운임의 10% 요금 부과
- 좌석이 필요하거나 유아가 2명 이상이면 소아 요금 적용 필요
- 보호자 1명당 1명의 유아만 동반 가능
📌 English Summary
- Infant fares apply to babies aged 7 days to under 24 months.
- If not occupying a seat, only 10% of the adult fare is charged.
- If a seat is needed, or if one adult travels with two infants, one must be booked at the child fare.
- Reservation is always required for infants, even without a seat.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 구독 부탁드립니다!
'여행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내에서 개인 편의 용품, 목 베개 ,발 해먹 써도 될까? (0) | 2025.04.10 |
---|---|
✈️ 만 14세 미만도 스카이패스 가입 가능할까? (1) | 2025.04.10 |
✈️ 대한항공 기내에서 이어폰 제공될까? 안 될까? 탑승 전 꼭 확인하세요! (0) | 2025.04.10 |
✈️ 대한항공 기내에서 받는 어메니티 키트, 클래스에 따라 이렇게 다릅니다! (0) | 2025.04.10 |
✈️ 혼자 비행기 타는 우리 아이, 걱정 마세요! (0) | 2025.04.10 |